학교 안전이 중대한 사회적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학교 보안 시스템의 혁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교육현장을 이해하는 교육 AI 특화 기술이 중요한 가운데, 디지털 교육 인프라 대표 기업인 벡트는 최근 자사 테크블로그를 통해 ‘AI와 함께 지키는 학교 안전 시스템의 진화’라는 주제로 포괄적인 분석을 공개했다.
전통적 보안에서 능동적 대응으로의 전환
기존의 학교 보안은 CCTV 영상을 사후에 검토하거나, 인력이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방식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AI는 이 구조를 완전히 뒤바꾸고 있다. 머신러닝과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하면 이상 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침입이나 무기 소지, 배회 등 위험 신호를 사전에 포착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AI는 단순히 기계적인 감시를 넘어, 카메라 영상과 음향 센서로부터 의미 있는 패턴을 읽어내고, 학교 내 위기 상황에 즉각 경고를 보내는 ‘능동형 보안 체계’로 진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보안 담당자는 반복적인 모니터링 대신, AI가 감지한 위험 정보에 따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교실 안팎에서 일어나는 모든 위협에 대비
AI는 교실 내부에서도 안전을 책임진다. 컴퓨터 비전과 음향 분석 기술을 통해 폭력, 괴롭힘, 이상 행동 등을 탐지하고, 스마트 교탁과 전자칠판 등 기존 교육기기를 비상 알림 기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자동 출결 시스템과 연동되어 행정 효율도 높일 수 있으며, 학생들의 이상 행동 패턴을 분석해 위험 상황을 미리 감지하는 데도 유용하다.
교실 밖의 공간에서도 AI는 막강한 역할을 수행한다. 운동장, 복도, 주차장, 출입구 등 학교 전역에 설치된 AI 기반 CCTV와 센서는 침입자, 무기, 배회, 방치된 물체 등을 자동으로 탐지한다. 얼굴 인식과 차량 번호판 인식 기술은 출입 통제를 더욱 정밀하게 만들어주며, 화장실이나 탈의실처럼 카메라 설치가 어려운 공간에서는 전자담배 감지 센서나 음향 센서를 통해 안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핵심 AI 기술의 총동원
벡트가 제시한 AI 기반 안전 시스템은 다양한 AI 기술의 융합으로 구현된다. 컴퓨터 비전, 이상 감지, 행동 분석, 음향 분석, 예측 분석 등 복합 알고리즘이 적용되며, 센서 퓨전 기술을 통해 다중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여 정밀한 상황 판단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YOLO, R-CNN 등 객체 인식 알고리즘, 행동 패턴 인식을 위한 자세 추정 기술, 비정상적 데이터 탐지를 위한 딥러닝 기반 이상 감지 알고리즘 등이 있다. 또한, 머신러닝 기반 예측 분석 기술을 통해 특정 시간대나 구역의 위험도를 사전에 추정할 수 있어 보다 전략적인 안전 관리가 가능하다.
국내외 실제 적용 사례도 속속 등장
국내에서는 정부 주도로 ‘제4차 학교안전사고 예방 기본계획(2025~2027)’이 추진되고 있으며, 화성시에서는 스마트 스쿨존에 AI CCTV와 자동 차단기 시스템을 도입해 실질적인 교통사고 예방 효과를 거두고 있다. 불법 주정차나 무단횡단 감지 기술도 함께 적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ZeroEyes, Gaggle, VOLT AI 등 다양한 솔루션이 도입되고 있으며, 애리조나의 프레스콧 고등학교는 AI가 천식 발작 학생을 감지해 15초 내 의료진이 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 사례를 기록했다. 일리노이 대학교 시카고 캠퍼스와 노스캐롤라이나의 시범 사업도 AI를 활용해 절도, 무기 감지, 침입자 추적 등 다양한 기능을 시험 운영 중이다.
AI는 대체가 아닌 보강의 도구
AI는 인간 보안 인력을 대체하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이 놓치기 쉬운 부분을 보완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정교하고 신속한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다. 실제 위협 상황에서 수초의 판단 차이가 생사를 가를 수 있기 때문에, AI의 보조적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벡트 관계자는 "벡트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교육 인프라의 선두기업이다. 2024년 코스닥에 상장한 벡트는 디지털 사이니지 기술을 중심으로 교육 인프라의 AI 전환을 가속화하여 학교와 교육 환경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 벡트 AI 테크블로그 : https://blog.vect.co.kr/
● 벡트 홈페이지 : https://vect.co.kr/
● 벡트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uhitech
CEO경제신문